본문 바로가기
갱년기

갱년기 때도 술 한 잔, 커피 한 잔 괜찮을까요

by 몸이 먼저다5876 2025. 6. 9.
반응형

“아무리 갱년기라도 커피는 포기 못 하겠어요…”
“술 마시면 확 열 오르는 것 같긴 한데, 정말 안 마셔야 하나요?”

갱년기를 겪는 여성이라면, 술과 커피에 대한 고민이 한 번쯤은 생기기 마련입니다.
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, ‘완전 금지’는 아니지만 분명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지금부터 그 이유와, 어떻게 마시면 괜찮을지 간단히 알려드릴게요.

 

갱년기에 술이 안 좋은 이유

갱년기 여성의 몸은 예전과 다르게 알코올 분해 능력이 떨어집니다.
그 결과 술을 마시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더 쉽게 나타날 수 있어요.

  • 안면홍조, 열감, 두근거림 증가
  • 수면장애 심화 (밤중에 자주 깨거나 얕은 잠)
  • 골밀도 감소 촉진 → 골다공증 위험 증가


특히 에스트로겐이 부족해지는 갱년기엔
술이 여성호르몬 대사를 방해할 수 있어서, 권장되지 않습니다.

세계보건기구(WHO)도 폐경기 여성의 음주는 뼈 건강과 심혈관 건강에 부정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죠.

 

갱년기 커피, 무조건 끊어야 할까요?

커피 속 카페인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:

  • 심박수 증가 → 두근거림, 불안감 유발
  • 위산 과다 → 속쓰림, 위염 증상 악화
  • 칼슘 배출 증가 → 골다공증 위험 상승


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하루 1~2잔의 커피는 오히려 기분 안정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도 있습니다.

단, 다음과 같은 조건을 지키는 것이 중요해요:

  • 공복 섭취 피하기
  • 오후 3시 이후 섭취 자제
  • 크림, 시럽 등 당분 첨가 제한


즉, 무조건 끊을 필요는 없지만 ‘마시는 시간’과 ‘방법’은 꼭 조절해야 합니다.

 

이럴 땐 이렇게 하세요

✔ 평소 안면홍조나 두근거림이 심하다면?
술과 카페인은 가능한 한 피하세요.

✔ 기분 전환용 한 잔이 필요할 땐?
저알코올 음료(맥주 반 잔), 디카페인 커피로 대체해보세요.

✔ 골다공증 걱정된다면?
칼슘 섭취와 비타민 D 보충을 병행해 주세요.

 

내 몸의 반응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‘나’입니다

갱년기엔 무조건 금지보다, 내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술과 커피, 적당히 마시되 몸의 반응을 관찰하면서 조절하는 지혜가 필요하겠죠?

관련된 내용을 좀 더 알고 싶다면 추천글을 클릭해 보세요.

 

반응형